반응형

중이염 원인, 증상, 치료방법

중이염은 귀 안쪽 고막에서 달팽이관까지 이르는 공간인 중이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주로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으로 발생하며, 특히 영유아에게서 많이 나타납니다.

원인

감기나 비염 등의 상기도 감염 후 세균이 이관을 통해 중이로 침입하여 발생합니다.
귀에 물이 들어가거나 이물질이 들어간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이관이 폐쇄되거나 기능이 저하된 경우에도 발생 가능합니다.

증상

귀의 통증: 귀에 통증이 느껴지며, 특히 귓불을 만질 때 더욱 심해집니다.
발열: 38도 이상의 고열이 나타납니다.
청력 감소: 귀가 먹먹해지고 소리가 잘 들리지 않습니다.
이명: 귀에서 삐 소리나 윙윙거리는 소리가 들립니다.
어지럼증: 균형을 잡기 어렵고 현기증이 납니다.
분비물: 귀에서 분비물이 흘러나오거나 삼키는 것이 어렵습니다.
두통: 머리가 아프고 무겁습니다.

진단

이경 검사: 귀 안을 직접 관찰하여 중이염 여부를 판단합니다.
청력 검사: 청력 손실 정도를 측정합니다.
영상 검사: 필요한 경우 CT나 MRI 등의 영상 검사를 시행합니다.

치료 방법

항생제 치료: 세균성 중이염의 경우 항생제를 투여하여 치료합니다.
진통제: 통증이 심한 경우 진통제를 사용합니다.
이관 기능 개선제: 이관의 기능을 개선하여 중이의 압력을 조절합니다.
수술: 삼출성 중이염이 3개월 이상 지속되거나 청력 손실이 심한 경우에는 수술을 고려해야 합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고, 감기에 걸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또 귀에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조심하고, 귀를 자주 파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진폐증 원인, 증상, 치료방법

진폐증은 폐에 먼지가 쌓여 폐 세포에 염증과 섬유 화가 일어난 상태를 이르는 말로, 일반적으로 작업장에서 발견되기 때문에 직업성 폐 질환이라고도 불립니다.
주로 석탄 가루가 수년에 걸쳐 폐 조직에 쌓이면서 발생하지만 알루미늄, 바륨, 베릴륨, 활석, 목화 먼지, 규소 등 다양한 먼지 종류에 의해서도 생길 수 있습니다

원인

진폐증을 유발하는 먼지 입자는 일반적으로 작업장에서 발견되는데 이에 따라 발생하는 질병의 유형은 흡입한 먼지의 종류에 따라 상이합니다. 크게 규폐증, 석면폐증, 용접공 폐증, 면폐증, 기타 금속 및 유기 화합물 등이 있습니다
규폐증: 광산에서 규산이 함유된 먼지에 노출되었을 때 발생합니다.
석면폐증: 석면 방직 공장 등에서 석면에 노출되었을 때 나타납니다.
용접공 폐증: 용접 작업 중 발생하는 금속 먼지에 의해 야기됩니다.
면폐증: 면섬유 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면섬유 먼지에 의해 발생합니다.

증상

해당 질환의 초기 단계에서는 주로 운동을 할 때만 호흡 곤란이 나타납니다. 하지만 질환이 심화됨에 따라 가만히 있어도 숨이 차게 되고, 기침 및 가슴 통증 등의 증상 또한 발현됩니다.

진단

진단을 위해서는 폐 청진, 흉부 x-ray, 폐 기능 검사, 고해상도 ct 검사, 폐 조직 채취 검사 등을 활용합니다. 흉부 엑스레이 검사 혹은 고해상도 단층 촬영술을 이용하여 진폐성 음영을 관찰하며, 직업력과 증상이 있을 시에 진단을 내립니다

치료

현재까지는 진폐증 그 자체를 낫게 하는 치료법은 없습니다. 그렇기에 진폐증만 있고 증상이 없을 때는 치료를 진행하지 않으나, 진폐증에 의해 활동성 폐결핵이 발생했거나 합병증 등이 생겼을 때는 치료를 해야 합니다.
진폐증 환자에게는 산소 요법 및 기관지 확장제 등을 활용한 호흡기 치료가 제공되며, 폐 기능이 저하된 경우에는 재활 치료 또한 시행됩니다. 더불어, 작업 환경에서 먼지 노출을 최소화하도록 방진 마스크 착용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작업 환경에서의 공기 정화 장치 설치, 적절한 보호 장비 착용 등이 요구됩니다. 또 정기적인 건강 검진을 통해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