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직장탈출증은 직장이 항문 밖으로 탈출하는 질환으로, 고령자나 여성에게서 많이 나타납니다. 다음은 직장탈출증의 원인, 증상, 치료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입니다.
근육과 결체조직의 약화: 나이가 들면서 또는 특정 의학적 상태로 인해 골반 바닥 근육과 결체조직이 약화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약화는 직장을 지지하는 구조가 느슨해져 직장탈출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복압 증가: 만성기침, 천식, 비만, 임신 등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복압이 상승하면 직장탈출증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집니다. 변실금: 대변을 참지 못하고 지리는 증상으로, 직장탈출증 환자에게 자주 나타납니다. 변실금으로 인해 항문괄약근이 약화되고, 이로 인해 직장탈출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선천적 요인: 항문괄약근이나 골반 바닥 근육이 약한 경우, 직장탈출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기타 요인: 대장암이나 직장암 등의 질환으로 인해 직장이 손상되거나, 출산 후 회음부 근육이 약해지는 경우에도 직장탈출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직장탈출증 초기에는 배변 시에만 직장이 탈출하지만, 점차 진행되면서 기침, 재채기, 무거운 물건을 들 때에도 직장이 탈출할 수 있습니다. 탈출된 직장이 항문을 막으면 변비가 생길 수 있으며, 반대로 항문이 열리면 설사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직장탈출증이 심해지면 항문 내부의 점막이 노출되어 출혈이나 통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점액이 분비되기도 합니다. 직장탈출증이 오래 지속되면 항문 주변의 피부가 궤양화되거나, 항문 괄약근이 손상되어 변실금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보존적 치료: 초기 직장탈출증 환자에게는 보존적 치료를 시행합니다. 보존적 치료에는 식이섬유를 충분히 섭취하여 변비를 예방하고, 배변습관을 조절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또한, 온수 좌욕을 통해 항문 주변의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항문 괄약근을 강화하는 운동을 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수술적 치료: 보존적 치료로 증상이 개선되지 않거나, 직장탈출증이 진행되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수술을 시행합니다. 수술은 전신마취나 척추마취를 한 후, 항문을 통해 직장을 절제하고 봉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수술 후에는 일정 기간 동안 입원치료를 받아야 하며, 수술 후에도 재발 방지를 위해 꾸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직장탈출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규칙적인 운동과 건강한 식습관을 유지하여 변비를 예방하고, 항문 괄약근을 강화하는 운동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변실금이 있는 경우에는 적극적으로 치료하여 직장탈출증의 발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